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5)
니체와 고흐 – 고통과 존재를 통찰하는 철학적 여정 1. 고통은 정신의 해방자“고통은 정신 최후의 해방자이다.” 이 한 문장이 이 책을 관통한다. 프리드리히 니체의 철학적 언어와 빈센트 반 고흐의 예술적 시선이 만나 삶의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책, 그것이 《니체와 고흐》이다.우리는 흔히 고통을 피해야 할 것으로 여긴다. 하지만 니체는 말한다. 고통은 우리를 심오하게 한다. 병을 통해 더 강해졌고, 절망 속에서 철학을 발견했다고.2. 병은 나를 강하게 만든다“비로소 나는 병에서 나의 더 높은 건강을 얻었다.” 니체의 이 문장은 회복을 넘어선 진화를 보여준다.육체적 고통이 정신을 억압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정신을 일깨우는 계기가 된다는 그의 생각은 많은 위인들의 삶과도 맞닿아 있다.나 자신도 힘든 시기, 극심한 스트레스 속에서 오히려 나를 더 깊이 이해했..
느리게 나이 드는 습관 – 뇌와 몸을 연결하는 감속노화 전략 1. 늙지 않고 사는 법은 없지만, 늦게 늙는 법은 있다《느리게 나이 드는 습관》은 노년내과 전문의 정희원 교수가 실질적인 의학적 지식과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노화의 속도를 늦추는 구체적 실천법을 소개하는 책이다.우리는 모두 늙는다. 하지만 어떻게 늙느냐는 전적으로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 이 책은 그 선택의 기준을 ‘과학’과 ‘개인화’로 제시한다.2. 건강 습관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다건강한 생활 습관은 목표가 아니다. 내가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한 수단이다. 중요한 건 남들이 좋다고 하는 방식이 아니라, 내 몸에 맞는 방식을 찾는 것이다.요즘처럼 유튜브나 방송에서 떠도는 정보가 넘치는 시대에는 오히려 정보가 독이 된다. 내 몸을 모르면 남의 건강법이 나에게 병이 될 수 있다.3. 뇌와 몸은 하나의 시..
나는 포기를 모른다 – 아놀드 슈워제네거의 7가지 인생 무기 1. “포기하지 않는 한 끝이 아니다.”너무 많이 들어본 말이다. “포기하지 마라.” 이제는 진부하게 느껴질 만큼 익숙한 이 문장. 하지만 아놀드 슈워제네거의 삶을 알고 나면, 이 말이 단순한 응원이 아니라 실제 체험에서 나온 절실한 교훈임을 알게 된다.나 역시 돌아봤다. 나는 정말 포기하지 않았나? 편입을 하고, 졸업을 하고, 인연을 만들고, 결국 나는 나의 능력 안에서 최선의 선택을 해왔다.2. 위기는 기회다 – 시련을 즐긴다“나는 다시 위로 기어올라가야만 하는 시련을 즐긴다.” 아놀드는 고난을 회피의 대상이 아닌, 정면돌파의 기회로 본다.시련이 있어야만 성장이 있고, 절박함이 있어야 진짜 에너지가 생긴다. 책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편안함은 퇴보다. 절박함은 진보다.”그래서 나는 일부러 나에게 ..
이기는 몸 – 우리 몸을 아는 것이 곧 건강의 시작이다 1. 몸을 모르고 사는 사람들이 책을 읽으며 느낀 가장 큰 충격은 “우리는 정말 우리 몸을 모른다.”는 사실이었다. 증상이 생기면 병원에 가고, 처방약을 먹고, 괜찮아지면 잊는다. 그 사이에 우리 몸이 어떤 말을 했는지, 어떤 신호를 보냈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이동환 박사는 강조한다. 건강은 몸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2. 약은 모두에게 정답이 아니다책의 첫 부분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사례는 “어떤 사람에게는 약이, 다른 사람에게는 독이 된다.”는 말이었다.같은 증상이라도 원인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불면증 환자에게 수면제를 무작정 처방하는 것은 스트레스가 원인이라면 전혀 효과가 없고 오히려 피로를 가중시킬 수 있다.결국 중요한 것은 ‘증상’이 아닌 ‘원인’을 보는 시각이다.3. 스..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 사람을 다룰 줄 아는 능력이 인생을 바꾼다 1. 사람을 다루는 능력, 가장 중요한 기술“사람을 다루는 것은 당신이 직면하는 가장 큰 문제다.” 이 말은 사업가뿐 아니라, 주부, 직장인, 학생 누구에게나 해당된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데일 카네기의 《인간관계론》은 사람을 다루는 기술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그 기술이 행복, 인기, 수입, 심지어 건강까지 좌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2. 사람을 다루는 능력은 사고팔 수 있는 가치석유왕 존 D. 록펠러는 말했다. “사람을 다루는 능력은 설탕이나 커피처럼 사고팔 수 있는 상품이다. 나는 어떤 것보다 그것에 더 많은 돈을 지불할 것이다.”이 말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이유는 모든 비즈니스, 모든 관계, 모든 사회활동의 핵심이 결국 사람을 이해..
내 몸에 이로운 식사를 하고 있습니까? – 몸을 살리는 식사의 기술 1. 음식, 단순한 연료가 아닌 ‘정보’우리는 흔히 음식을 ‘연료’로만 생각한다. 하지만 바스 카스트는 이 책에서 말한다. “음식은 곧 신체와 뇌에 전달되는 정보다.”즉, 우리가 어떤 음식을 섭취하느냐에 따라 몸의 노화 속도, 염증 수치, 질병 발생 가능성이 극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2. 오메가3와 견과류, 올리브유의 힘이 책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특정 영양소가 몸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를 상세히 설명한다.기름진 생선, 아마씨, 치아씨에 풍부한 오메가3는 심혈관 질환 예방하루 한두 줌의 견과류는 당뇨 및 심장질환 사망 위험을 30~75%까지 낮춤올리브유는 노화 스위치를 조절하는 기능까지 수행박진영이 올리브유를 챙겨 먹는 이유도 어쩌면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3. 뇌의 염증이 비만을 유..
책쓰기 학교 인생을 바꾸다 – 글쓰기가 삶을 어떻게 바꾸는가 1. 글쓰기, 단순한 기록을 넘어선 인생의 전환점김병완 작가의 《책쓰기 학교 인생을 바꾸다》는 단순한 작법서가 아니다. 글을 쓴다는 것이 어떻게 삶 전체를 바꾸는가에 대한 통찰과 사례, 그리고 직접 실천할 수 있는 방법론이 담긴 책이다.나 역시 이 책을 읽으며 “나는 왜 글을 쓰고 싶은가?”, “내 인생에 글쓰기란 무엇인가?”를 깊이 고민하게 되었다.2. SECCT – 글쓰기 본문의 5요소가장 실용적이면서 인상 깊었던 부분은 SECCT 글쓰기 구성법이다.S (Story): 키 문장을 중심으로 스토리를 구성E (Evidence): 객관적 증거와 논거 제시C (Case): 관련 사례나 경험 공유C (Conclusion): 핵심 결론 정리T (Thought): 작가 자신의 생각을 담은 주관적 해석이 5단계는 ..
서른에 읽었으면 변했을 책들 – 삶을 바꾸는 책 50권과의 만남 1. 책이 내 삶을 바꾸었다《서른에 읽었으면 변했을 책들》은 단순한 책 소개가 아니다. 인생을 바꾸고 싶은 모든 이들을 위한 책에 대한 책이다. 저자 김병완은 3년 동안 세상과 단절한 채 오직 책 읽기에 몰입했고, 그 결과 수백 권의 책을 소화하고, 수십 권의 책을 집필하는 작가가 되었다.이 책은 50권의 책을 소개하면서도 단순한 요약에 그치지 않고, 서른 즈음의 인생에서 반드시 마주해야 할 통찰들을 “멘토”라는 이름으로 정리해준다.2. ‘성장과 변화’의 서른을 위한 10가지 주제책은 총 10가지 멘토링 테마를 제시한다:희망회복도전성공행복공부부자 & 천재기적열정놀이 & 즐거움이 주제들은 서른이라는 나이대가 겪는 전환기적 고민 – 진로, 경제, 자기 존재, 인간관계 – 에 맞춰 독서와 사고를 통해 스스로에..
마인드셋 책 리뷰 – 성장하는 사람은 실패 앞에서도 배우기를 멈추지 않는다 1. 마인드셋이 삶의 방향을 결정한다스탠퍼드의 심리학자 캐럴 드웩은 우리 인생에서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결정적 요인을 ‘마인드셋’이라 말한다. 《마인드셋》은 단순한 심리학 책이 아니라 삶의 방식과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질문을 던지는 책이었다.“세상은 배우려는 자와 배우지 않으려는 자로 나뉜다.” 이 문장을 읽고 난 뒤, 나는 내가 과연 어떤 부류에 속해 있는지를 되묻게 되었다.2. 고정 마인드셋 vs 성장 마인드셋고정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은 능력은 타고나는 것이며 실패는 곧 자존감의 붕괴라고 믿는다. 반면, 성장 마인드셋은 노력과 시간, 실수를 통해 능력은 얼마든지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나는 솔직히 고정 마인드셋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살아온 것 같다. “실패하면 나는 쓸모없는 존재가 된다..
EBS 자본주의 책 리뷰 – 소비, 자존감, 그리고 나를 마주하다 1. 책을 통해 보게 된 '나의 욕망'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를 책으로 다시 마주하면서, 가장 먼저 떠오른 건 ‘내가 진짜 원하는 건 무엇일까?’라는 질문이었다. 마치 거울을 들이민 듯, 책은 소비의 욕망, 자존감의 결핍, 타인의 시선을 쫓는 내 모습들을 하나씩 비춰주었다.“연예인이 나오면 나도 산다.” 이 한 줄에서 나는 움찔했다. 광고 속 모델을 동경하고, 그와 같아지려는 욕망. 그걸 충족시키기 위해 무언가를 ‘사는’ 행위. 나는 소비를 통해 내가 더 나아지는 착각 속에서 살고 있지 않았을까?2. 소비는 ‘내가 누구인지’ 보여주고 싶어서서울대학교 곽금주 교수의 말처럼, 사회적으로 배척당한 경험은 과소비의 씨앗이 될 수 있다. 이단 교회에서 소외되었던 나의 경험과 연결지었을 때, 나는 그 상실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