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5) 썸네일형 리스트형 마인드셋 책 리뷰 – 성장하는 사람은 실패 앞에서도 배우기를 멈추지 않는다 1. 마인드셋이 삶의 방향을 결정한다스탠퍼드의 심리학자 캐럴 드웩은 우리 인생에서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결정적 요인을 ‘마인드셋’이라 말한다. 《마인드셋》은 단순한 심리학 책이 아니라 삶의 방식과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질문을 던지는 책이었다.“세상은 배우려는 자와 배우지 않으려는 자로 나뉜다.” 이 문장을 읽고 난 뒤, 나는 내가 과연 어떤 부류에 속해 있는지를 되묻게 되었다.2. 고정 마인드셋 vs 성장 마인드셋고정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은 능력은 타고나는 것이며 실패는 곧 자존감의 붕괴라고 믿는다. 반면, 성장 마인드셋은 노력과 시간, 실수를 통해 능력은 얼마든지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나는 솔직히 고정 마인드셋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살아온 것 같다. “실패하면 나는 쓸모없는 존재가 된다.. EBS 자본주의 책 리뷰 – 소비, 자존감, 그리고 나를 마주하다 1. 책을 통해 보게 된 '나의 욕망'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를 책으로 다시 마주하면서, 가장 먼저 떠오른 건 ‘내가 진짜 원하는 건 무엇일까?’라는 질문이었다. 마치 거울을 들이민 듯, 책은 소비의 욕망, 자존감의 결핍, 타인의 시선을 쫓는 내 모습들을 하나씩 비춰주었다.“연예인이 나오면 나도 산다.” 이 한 줄에서 나는 움찔했다. 광고 속 모델을 동경하고, 그와 같아지려는 욕망. 그걸 충족시키기 위해 무언가를 ‘사는’ 행위. 나는 소비를 통해 내가 더 나아지는 착각 속에서 살고 있지 않았을까?2. 소비는 ‘내가 누구인지’ 보여주고 싶어서서울대학교 곽금주 교수의 말처럼, 사회적으로 배척당한 경험은 과소비의 씨앗이 될 수 있다. 이단 교회에서 소외되었던 나의 경험과 연결지었을 때, 나는 그 상실감을.. 조현병 치료와 회복 - 서울대 정신과 교수의 조언과 실제 경험 조현병은 단순한 정신적 문제가 아니라 뇌질환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조현병을 오해하고 있지만, 올바른 치료와 생활 습관을 통해 회복할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님은 조현병 인식 개선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계십니다. 그의 연구와 조언을 바탕으로 조현병 치료와 회복 과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1. 조현병 진단과 치료 경험저는 권준수 교수님께 조현병 진단을 받았습니다. 환각과 환청은 없었지만, 타인이 나를 해코지할 것 같다는 망상이 진단의 주요 이유였습니다. 처음에는 약물 치료를 시작했지만, 부작용이 너무 힘들어 단약을 결심했습니다. 의사들은 재발 가능성을 경고했지만, 운동과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하면서 건강한 삶을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정신질환을 겪는 .. 이전 1 ··· 4 5 6 7 8 9 다음